‘이재명 앞’에서만 용감한 ‘할 말 하는 사람’
2025년 8월 20일~21일, 안철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대구에서 펼친 발언과 유세 메시지들이 흥미롭다. “보수 정당의 핵심 가치는 법치주의”라며, “탄핵을 부정하거나 계엄을 옹호하는 사람들과는 함께할 수 없다”. “제가 이재명 대통령 앞에서도 할 말 하는 사람 아니겠습니까”라며, 당을 살려 정권을 되찾겠다고 한다.
정치적 ‘철새’ 안철수의 끝나지 않는 변신
정말 웃기는 사람이다. 8.15 경축식 현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연설할 때 “조국, 윤미향 사면 반대” 라는 플래카드 들고 항의했다고 자기 스스로를 할 말 하는 사람이라고 자칭한다. 냉혹한 정치의 세계에서 갈등과 대립을 극도로 회피하며 ‘단일화 중독’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던 그의 행보를 생각하면 그저 실소만 나올 뿐이다. 자기 당 소속 대통령에게는 할 말 하는 사람이 아니었음을 사과도 하지 않는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하고, 윤석열 당선 후 인수위원장으로 활동한 것을 사과하지도 않는다. 윤석열이 사고 치고 나서야 탄핵 찬성했다고 뒤늦게 ‘할 말’을 하는 것을 ‘자랑 질’로 포장하고 있는 것이다.

<안철수 – 자세한건 제 플래카드에 나와있습니다. / 출처: 이코노믹데일리>
철수 할수도 있고, 안철수 할수도 있습니다
안철수는 정치적 ‘철새’라는 꼬리표를 달고 이 당 저 당, 출마와 양보를 수없이 반복해온 사람이다. 워낙 당적도 많이 바꾸고 단일화란 이유로 후보 사퇴도 여러 번이어서 관심도 없는 사람이지만, 요즘 자꾸 언론에 나오니 짜증난다. 과거 행적을 간단히 봐보자.
-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설이 돌았으나 박원순 후보에게 양보 → 정치적 ‘신선한 인물’로 대중적 관심 집중.
- 2012년 제18대 대선 출마 선언 → 중도 개혁 이미지로 큰 지지를 얻었으나, 막판에 문재인 후보에게 단일화 양보.
- 2013년 4월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 당선 (무소속). 이후 민주당과 합류 → 새정치민주연합 창당(2014) 주도.
- 2016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국민의당 창당. 같은 해 총선에서 국민의당이 호남에서 돌풍 → 38석 확보, 원내 3당으로 부상.
- 제19대 대선(2017):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 문재인·홍준표와 3강 구도 형성했으나, TV 토론 등에서 약세를 보이며 3위(21.4%) 득표.
- 2018년 서울시장 선거 출마 → 3위 낙선.
- 2020년 총선에서 국민의당(개정판) 재창당, 안철수는 비례대표 후보 안 냄 → 원내 진입 실패.
-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 선거 막판 오세훈 후보와 단일화, 오세훈 승리.
- 2022년 대선: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 윤석열 당선 후 인수위원장으로 국정 운영 밑그림을 그렸음.
- 2022년 제21대 총선 보궐선거에서 분당갑 지역구 당선, 현직 국회의원. 국민의힘 내에서 당권 도전(2023, 2025년 전당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