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알쓸 MLB
  • MLB 선수들이 강철체력인데도 겪게 되는 만성피로
Image

MLB 선수들이 강철체력인데도 겪게 되는 만성피로


메이저리거의 만성피로 – 빡빡한 원정 일정이 주범?


만성피로 – KBO/NPB와 비교 불가, MLB의 빡빡한 162경기 일정

메이저리그의 경우 시즌당 팀당 162경기를 치르는데 (홈 81경기, 원정 81경기), 일본 NPB의 143경기, 한국 KBO의 144경기보다 겨우 18경기 더 치르는 셈임. 하지만 진짜 문제는 단순한 경기 수가 아님. 만성피로의 큰 원인은 엄청난 원정 이동 거리에 있었음.

원정 경기 이동이 서울 ↔ 부산이 아니라 뉴욕 ↔ LA?

우리나라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차로 4시간 30분이면 가지만, 미국은 뉴욕에서 LA까지 비행기로 5~6시간을 가야 함. 거리도 문제지만 동/서부의 경우 시차가 3시간이나 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냐에 따라 3시간을 벌기도, 까먹기도 함. 이러니 만성피로에 시달리지, 그렇지 않으면 그게 사람인가.

최근 LAFC로 이적한 손흥민 선수도 만성피로까지는 아니어도 메이저리거와 비슷한 고충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미국 프로축구(MLS)는 시즌 동안 팀당 34경기를 치르는데, 이동 거리는 메이저리그 못지않게 김.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을 앞두고 미국, 캐나다, 멕시코를 오가며 경기를 치르는 축구선수들 역시 메이저리거처럼 극심한 피로를 겪게 될 거임.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어떻게 원정을 이동할까?

메이저리그 팀들은 상업용 비행기가 아니라 보통 델타나 다른 메이저 항공사의 전세 비행기(charter)를 타고 이동함. 보통 보잉 757(72석 규모) 같은 전용기를 이용하고, 특급호텔에서 1인 1실을 쓰는 게 원칙임.

전용기 이동에도 피로가 쌓이는 이유

메이저리그의 경우 홈경기 6~9경기 후 원정경기 6~9경기를 치르는 게 통상적인 루틴인데, 동부나 서부팀의 경우 ‘크로스 컨트리(cross country)’ 횡단을 해야 하는 게 치명적임. 

예를 들어서 뉴욕양키즈의 경우 5월 2일 부터 홈에서 탬파와 3연전, 샌디에고와 3연전 후 서부로 날라가서 오클랜드와 3연전, 시애틀과 3연전 후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서 메츠와 홈경기를 가졌는데 원래 계획된 스케쥴의 경우 동서횡단시 하루씩 오프데이가 들어가있기는함. 

아무리 무쇠 몸뚱이 메이저리거라도 비행기 5~6시간 타고 바로 경기하는 건 무리가 따름. 날씨로 연기된 경기의 ‘메이크업 게임(make up game)‘이 있으면 이마저도 쉴 수 없을 때가 있음. 재수 없으면 원정경기 후 새벽 2시에 공항에 내린 뒤 같은 날 저녁 7시에 경기를 뛰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기도 함. 일반인들의 만성피로와는 그 급이 다를것 같지 않아?


만성피로 – 선수 컨디션에 미치는 영향

뜨거운 미국 여름을 거치면서 피로는 누적되고, 어느 순간 감을 잃는 경우가 부지기수로 생기게 됨. 최근 양키스 선발 유격수 볼피(Volpe)가 38타석 1안타(사구 없음)를 치고 수차례 에러를 낸 경우가 있었는데, 이 역시 만성피로에 의한 컨디션 저하가 주원인이 아닐까 의심이 됨.

한국이나 일본 리그에서 뛰다가 메이저리그로 올 경우 웬만한 강철 체력이 아니면 원정경기 이동거리 때문에 힘들다는 얘기가 많이 나옴. 미국이 말이 국가지 거의 대륙 수준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홈경기 뛰고 베트남 하노이로 원정경기 뛰러 가는 수준임. 컨디션 조절에 대한 노하우를 빨리 습득하는 게 성공의 지름길이 아닐까 싶음.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이정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김하성, 그리고 LA 다저스의 김혜성까지. 이 선수들이 멀고 먼 타지에서 빡빡한 스케줄을 소화하며 매일 최선을 다하고 있음.이런 빡빡한 일정 속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는 우리 선수들, 정말 대단하지 않음? 앞으로도 훌륭한 컨디션 관리로 부상 없이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길 바라며, 우리 모두 함께 응원하자고! 힘내라! 코리안 빅리거! Bye!

아크로폴

Releated Posts

스핏볼의 제왕 게일로드 페리 – 명예의 전당 입성기

스핏볼의 제왕, 게일로드 페리 스핏볼의 제왕 – 게일로드 페리 (Gaylord Perry)는 1962년부터 1983년까지 선발투수로 뛰면서 314승 265패, 5번의…

ByByuselessmlb9월 19, 2025

MLB 명예의 전당 탈락 선수 총정리: 기록은 레전드, 현실은…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Hall of Fame)은 뉴욕주 쿠퍼스타운에 위치해있고 총 351명의 선수, 심판, 감독 등이 입성해있음. 351명 중…

ByByuselessmlb9월 17, 2025

MLB 일본 선수들이 서부 팀을 선호하는 이유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뛰고있는 일본선수들은 LA다저스에 3명 (오타니, 야마모토, 사사키), 샌디에고에 2명 (다르비슈, 마쓰이), LA 에인절스에 1명 (키쿠치) 외에…

ByByuselessmlb9월 15, 2025

MLB 마이너리거 연봉과 현실, ‘눈물젖은 빵’의 진실은?

미국 마이너리거의 눈물젖은 빵은 사실일까? 미국마이너리그 (이미 언급했다시피 6군 체계로 운영 중)에서 메이저리그로 가는 길은 길고 험한 길임.…

ByByuselessmlb9월 12, 2025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