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알쓸 MLB
  • 시속 170km 강속구? 놀란 라이언, MLB 역사상 최고의 파워피처 이야기
nolan-ryan

시속 170km 강속구? 놀란 라이언, MLB 역사상 최고의 파워피처 이야기


놀란 라이언(Nolan Ryan)은 1947년 텍사스의 작은 시골마을에서 태어났는데 그는 MLB 역사상 최고의 강속구 투수로 칭송받고있음. 그의 별명은 ‘라이언 익스프레스(Ryan Express)’였음. MLB의 내로라하는 타자들이 직구가 올 걸 뻔히 알면서도 치지 못했던 Ryan의 강속구는 역대 최고로 인정받고있음. Ryan은 무려 27년 동안 선수 생활을 하면서 수많은 기록을 남겼는데 그가 보유하고있는 MLB 기록만 51개에 달함.


‘라이언 익스프레스’ 놀란 라이언 – 최고 구속, 정말 170km였을까?

Ryan은 160km를 넘나드는 강속구를 던졌는데 그는 40세가 넘어서도 계속 직구 스피드를 유지했음. 당시에는 오늘날처럼 공이 방출되는 순간이 아니라 홈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순간을 측정하는 구형 레이더 기술 덕분에, 현대 분석에 따르면 그의 가장 빠른 투구 속도는 시속 170k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함.

JUGS gun | 사진출처: headcoachsports.com

뉴욕 메츠 시절의 놀란 라이언, 강속구 유망주가 부진했던 이유

Ryan은 1966년 뉴욕 메츠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는데 1971년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로 트레이드 될 때까지 그의 선수 생활은 순탄치않았음. 1967년에는 어깨 부상 및 미 육군 예비역 복무로 인하여 한 시즌을 날렸고 1968~1969년에는 메츠의 쟁쟁한 투수진 (통산 311승 투수 Tom Seaver가 에이스였음)으로 인하여 선발투수진에 합류하지 못했지만 Ryan은 훗날 자신과 같은 강속구 투수 Seaver가 던지는 모습을 보고 자신이 발전할 수 있었다고 회고함.

Tom Seaver | 사진출처: nbcnews.com

1972년 에인절스에서 뛰면서부터 빛을 보기 시작했는데 이유는 처음으로 선발투수진에 합류해서 던질 수 있었고 이때부터 군 복무 의무에서 벗어나 격주로 텍사스에 훈련받으러 갈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함.


놀란 라이언 – 깨지지 않을 대기록: 5714 탈삼진과 7회의 노히트노런

Ryan은 324승 292패를 기록했는데 무려 8번의 올스타, 11번의 삼진왕 타이틀을 기록했음. 그가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기록 중 단연 최고의 기록은 5714개의 탈삼진(삼진) 기록임. 메이저리그 역사상 통산 3000개 이상의 삼진을 잡은 투수가 20명에 불과한데, 5000개 이상의 삼진을 잡은 선수는 Ryan이 유일함. 이는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도 쉽게 달성하지 못한 대기록임.

놀란 라이언 | 사진출처: amazon.com

현재 현역 선수 중 3000개 이상의 삼진을 잡은 선수는 3명인데 (Verlander, Kershaw, Scherzer) 세 선수 전부 은퇴가 임박한 선수라 Ryan의 기록을 깰 확률은 없음. Ryan은 통산 7번의 노히트노런을 기록했는데 이 역시 메이저리그 기록임. 재미있는 건 Ryan은 무려 12번의 1안타 게임을 던진 것으로도 유명한데 그는 18번의 2안타 게임, 31번의 3안타 게임을 던졌음. 

하지만 이런 압도적인 강속구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라이언의 위상에 대한 재평가도 존재함. 가장 큰 이유는 바로 MLB 역대 1위에 빛나는(?) 2,795개의 볼넷 기록에서 알 수 있듯, 그의 고질적인 제구력 문제였음. 이 때문에 단 한 번도 사이영 상을 수상하지 못했고, 통산 승률도 0.526으로 다른 전설적인 투수들에 비해 높지 않은 편임. 삼진 아니면 볼넷이라는 그의 비효율적인 투구는 그를 위대한 ‘이닝 이터’가 아닌 ‘삼진 아티스트’로 평가절하하는 주된 근거가 되기도 했음. 이러한 ‘명과 암’은 그를 단순히 위대한 투수를 넘어, 끊임없이 이야깃거리를 만드는 전설로 만들었음.

놀란 라이언의 대기록 | 사진출처: instagram.com

놀란 라이언의 성공 비결: 강력한 하체와 자기관리

Ryan이 MLB의 레전드가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타고난 강인한 어깨 및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하이 레그킥을 가능케한 튼실한 하체였다고봄. 

놀란 라이언의 하이 레그킥 변천사 | 사진출처: nytimes.com

Ryan은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훈련을 게을리하지 않았는데 특히 하체 훈련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다고함. 또 다른 이유를 들자면 그의 모범적인 생활이 아니었나 생각됨. Ryan은 20세가 되던 1967년 자신의 고등학교 동창인 Ruth Holdorff와 결혼해서 오늘날까지 모범적인 가정생활을 유지하고있는데 이 역시 Ryan 성공의 원동력이 아니었나 생각됨.


세 팀의 영구결번, 살아있는 전설 – 놀란 라이언

라이언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30), 휴스턴 애스트로스(#34), 텍사스 레인저스(#34) 등 세 팀에서 등번호를 영구 결번으로 지정받았고 MLB 구단 세 곳에서 등번호를 영구 결번으로 지정한 유일한 선수임. 지난 2회 동안 다뤘던 Wander Franco, Julio Urias와 달리 Ryan은 오로지 야구에만 전념하면서 MLB 역사상 최고의 파워피처로 인정받는 대투수가 되었고 그가 세운 수많은 기록은 앞으로도 깨질 수 없는 대기록으로 남게되었음. Bye~

– 아크로폴

Releated Posts

송성문 MLB 포스팅: 장점/단점 팩트 정리

[심층 분석] KBO WAR 1위 송성문 MLB 포스팅, 미국 현지 평가 및 진출 가능성 (feat. Fangraphs) 키움 히어로즈가…

ByByuselessmlb 11월 24, 2025

노모 히데오: 일본인 최초 MLB 진출과 토네이도 투구폼, 통산 기록 상세 분석

토네이도의 전설, NPB 레전드가 MLB의 물꼬를 트다 메이저리그(MLB)의 첫 일본선수는 1964년~1965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an Francisco Giants)에서 뛴 무라카미 마사노리…

ByByuselessmlb 11월 21, 2025

한국, 일본, 대만 프로야구 외국인 선수 연봉 및 규정

AAA 5만 달러 현실? KBO/NPB가 외국인 선수에게 ‘아시안드림’을 주는 이유 예전에 언급한 적이 있는데 메이저리그 산하 마이너리그(Minor League)의…

ByByuselessmlb 11월 19, 2025

조 디마지오, 테드 윌리엄스 등 2차 세계대전 MLB 스타플레이어의 희생

루즈벨트의 그린라이트: 2차 세계대전 중에도 계속된 메이저리그 역사와 참전 용사 제2차 세계대전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ByByuselessmlb 11월 17, 2025

의견을 남겨주세요